#백준, [#5430_AC], [#
https://www.acmicpc.net/problem/5430
문제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뒤집기)과 D(버리기)가 있다.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RDD"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000)
다음 줄에는 [x1,...,xn]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1 ≤ xi ≤ 100)
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RDD
4
[1,2,3,4]
DD
1
[42]
RRD
6
[1,1,2,3,5,8]
D
0
[]
예제 출력 1 복사
[2,1]
error
[1,2,3,5,8]
error
풀이: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0
5
2
3
1
4
2
3
5
1
7
예제 출력 1 복사
1
1
2
2
3
3
4
5
5
7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000,000,007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000
예제 출력 1 복사
517691607
solved.ac는 Sogang ICPC Team 학회원들의 알고리즘 공부에 도움을 주고자 만든 서비스이다. 지금은 서강대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solved.ac의 도움을 받아 알고리즘 공부를 하고 있다.
ICPC Team은 백준 온라인 저지에서 문제풀이를 연습하는데, 백준 온라인 저지의 문제들에는 난이도 표기가 없어서, 지금까지는 다양한 문제를 풀어 보고 싶더라도 난이도를 가늠하기 어려워 무슨 문제를 풀어야 할지 판단하기 곤란했기 때문에 solved.ac가 만들어졌다. solved.ac가 생긴 이후 전국에서 200명 이상의 기여자 분들께서 소중한 난이도 의견을 공유해 주셨고, 지금은 약 7,000문제에 난이도 표기가 붙게 되었다.
어떤 문제의 난이도는 그 문제를 푼 사람들이 제출한 난이도 의견을 바탕으로 결정한다. 난이도 의견은 그 사용자가 생각한 난이도를 의미하는 정수 하나로 주어진다. solved.ac가 사용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난이도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아직 아무 의견이 없다면 문제의 난이도는 0으로 결정한다.
- 의견이 하나 이상 있다면, 문제의 난이도는 모든 사람의 난이도 의견의 30% 절사평균으로 결정한다.
절사평균이란 극단적인 값들이 평균을 왜곡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장 큰 값들과 가장 작은 값들을 제외하고 평균을 내는 것을 말한다. 30% 절사평균의 경우 위에서 15%, 아래에서 15%를 각각 제외하고 평균을 계산한다. 따라서 20명이 투표했다면, 가장 높은 난이도에 투표한 3명과 가장 낮은 난이도에 투표한 3명의 투표는 평균 계산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외되는 사람의 수는 위, 아래에서 각각 반올림한다. 25명이 투표한 경우 위, 아래에서 각각 3.75명을 제외해야 하는데, 이 경우 반올림해 4명씩을 제외한다.
마지막으로, 계산된 평균도 정수로 반올림된다. 절사평균이 16.7이었다면 최종 난이도는 17이 된다.
사용자들이 어떤 문제에 제출한 난이도 의견 목록이 주어질 때, solved.ac가 결정한 문제의 난이도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난이도 의견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3 × 105)
이후 두 번째 줄부터 1 + n번째 줄까지 사용자들이 제출한 난이도 의견 n개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모든 난이도 의견은 1 이상 30 이하이다.
출력
solved.ac가 계산한 문제의 난이도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1
5
5
7
8
예제 출력 1 복사
6
5명의 15%는 0.75명으로, 이를 반올림하면 1명이다. 따라서 solved.ac는 가장 높은 난이도 의견과 가장 낮은 난이도 의견을 하나씩 제외하고, {5, 5, 7}에 대한 평균으로 문제 난이도를 결정한다.
예제 입력 2 복사
10
1
13
12
15
3
16
13
12
14
15
예제 출력 2 복사
13